고수(高手)

“백 번 싸워 백 번 모두 이기는 것은 최상의 용병술이 아니다.
적과 싸우지 않고 적의 군대를 굴복시키는 것이 가장 최상의 용병술이다.(百戰百勝, 非善之善者也. 不戰而屈人之兵, 善之善者也.)” – 손자병법(孫子兵法) 모공(謀攻) 편(篇) 중에서

주나라에 닭싸움을 위해 닭을 훈련시키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선왕의 부탁으로 싸움닭을 한 마리 훈련시키게 되었다. 열흘쯤 지나 왕은 그 닭이 얼마큼 훈련이 되었는지 물었다. 훈련사는 “아직 멀었습니다. 그저 날뛰고 날쌘 척만 할 뿐입니다”하고 대답했다. 다시 한 열흘이 지나 왕이 다시 물었다. 훈련사는 대답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닭의 소리가 나거나 모양이 보이면 덤벼들려고만 합니다.” 또 열흘이 흐르고 왕이 다시 물었지만 훈련사의 대답은 비슷했다. “아직 멀었습니다. 다른 닭 가까이에 가면 상대를 노려보고 지지 않으려고만 애를 씁니다.” 그 뒤 다시 열흘이 흘러 왕이 묻자, 훈련사는 마침내 이렇게 대답했다. “이제 됐습니다. 다른 닭이 소리쳐도 꿈쩍할 낌새도 보이지 않습니다. 멀리서 보면 마치 나무로 깎아 만든 닭 같습니다. 다른 닭들이 싸우려 하지 않고 달아나 버립니다.”

위 이야기는 ‘열자(列子)’에 나오는 이야기다.

고수는 요란스럽지 않다. 말을 함에 있어 중언부언하지 않는다. 내면의 삼엄함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치열하지만 또한 고요하다. 고수는 자연스럽다. 상대와 상황을 탓하지 않는다. 때로는 그것에 맞추고 때로는 그것을 고친다. 어떤 상황에서도 고수는 균형을 잃지 않는다.

고수는 어느 날 나오지 않는다. 부단한 수련으로만 되지도 않는다. 재능이 강점이 될 때, 훈련이 지속이 될 때, 그리고 그 두 가지가 결합될 때 나온다. 결합은 더하기가 아니다. 그것은 곱하기다. 따라서 둘 중 하나라도 없으면 고수가 될 수 없다. 한 사람이 고수가 될 수 있는 분야는 많지 않다. 인간은 몇 가지 재능을 타고 나지만, 그 중 깨닫고 키우는 것은 단 하나도 어려운 일이다.

고수는 고수를 알아본다. 훌륭한 스승 밑에 훌륭한 제자가 있는 것은, 제자의 안에 이미 탁월함이 숨 쉬고 있기 때문이다. ‘끼리끼리 논다’는 말은 틀린 말이 아니다. 일류에게 배워야한다는 것은 일류를 관찰함으로써 내 안에 감춰져있는 일류를 찾을 수 있다는 뜻이다.

고수는 핵심에 직접 다가갈 수 있다. 따라서 명쾌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핵심을 찌르니 복잡할 것이 없고 복잡할 것이 없으니 어렵게 말하지 않는다. ‘진실한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진실하지 않다는 노자의 말은 아마 이런 뜻일 것이다.

Leave a Comment